커넥팅 by 신수정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
생각하면서 그리고 철학을 가지고 일해야 한다는 것. 나도 모르게 책에 빠져들었다.
일반적인 기업 다니는 직장인들에게 해당되는 부분이 많았지만 그 외 직종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전달하는 메시지로는 충분하다고 생각되었다.
두서없이 정리해 보기로 한다.
어떤 업무든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논리적 사고와 기획 역량, 문제 해결 역량, 학습 역량, 협상 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정리 역량, 제안서 및 보고서 역량, 리더십 역량
주식투자는 차익이나 투자가 아닌 그 회사의 주인이 된다는 관점으로!
업무와 역량의 전문성을 키워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선택할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한 것이다. 자신에게 적합한 곳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다.
일이 꼭 즐거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즐거워야 잘할 수 있게 된다는 것 또한 진실이라 하기 어렵다. 나의 책 [일의 격]에서도 인용한 말이 있다. '목표는 멋지지만 목표로 가는 길에는 똥으로 가득하다. 지루한 길이다.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은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가 아니라 그 과정의 어떤 고통을 견딜 수 있는가'다.
변화하는 시대에 필요한 마인드셋
1. 커리어 환경이 점점 프로 축구단처럼 변화할 것이다. -> 직이 아닌 업의 관점이 필요하다.
2. 개인의 능력과 대우의 격차가 점점 커질 것이다. -> 자신이 프로라는 마인드셋이 필요하다.
3. 기업의 흥망 주기가 짧아질 것이다. ->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커리어패스가 아닌 커리어 포트폴리오
: 스티브잡스의 점 연결하기 처럼, 관련없는 것들이 나중에 하나의 커리어 패스로서 역할을 하는 시대가 온다.
커리어의 목적은 1등이 되 사장이 되는 것이 아니라 더 넓고 풍요로우며 평생 지속할 수 있는 방향을 발견하는 것이다.
당신이 성장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다면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많이 배우고 훈련받을 수 있는 부서를 선택하라.
1. 자신이 잘할 수 있고 성과를 명확히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을 정해 거기서 존재감을 드러내라.
2. 게임 룰이 정해진 곳으로 가지말고 자신이 게임의 룰을 만들 수 있는 곳으로 가거나 자신이 그런 곳을 만든다.
3. 금수저가 아닌 사람이 어려운 환경을 극복한 스토리가 스펙보다는 사람들에게 훨씬 큰 영감을 준다.
실력을 키우려면
1.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의도적인 훈련을 해야한다.
2. 물론 여기에는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하며 피드백과 코칭을 받으면 좋다
3. 기존에 해오던 방식에 의문을 가지고 다른 관점으로 보며 다른 방식으로 변화를 시도한다.
어떤 영역이든 사버을 하면서 발견하고 공부한 인사이트와 지식을 글과 강연으로 꾸준히 남기는 게 중요함.
Worker가 아닌 Player와 Pro로:
1. 나이와 경력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한정하지 않는다.
2. 스스로 동기부여한다.
3. 틀 안에서 최대한 자신이 주도권을 가지고 일한다.
4. 평론하거나 비판하지 말고 행동한다.
5. 더 뛰어난 사람, 배울만한 사람에게 코칭받는다.
6. 차별성, 전문화, 실력, 개성, 가치를 키운다.
7. 책임을 확대하고 몸값을 높인다.
8. 성과로 말한다.
9.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진다.
AI시대 인재: 새로운 사고, 아이디어, 가정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관념을 과감히 포기할 줄 아는 사람, 세상을 변화할 준비가 된 사람
퇴임 후에도 일을 하기 위해서는 평소 커리어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1. 현역시절 쌓은 직무 능력을 평생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찾기
2. 경제력을 탄탄히 해놓기
3. 커리어를 이어가는 가운데 부캐를 만들어 이를 확장
인간이 부를 추구하는 진정한 이유는 선택할 수 있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다.
커리어란 미션을 성취하고 자유를 추구하는 여정이다.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10X10의 법칙. 자신이 10이라면 10의 상대를 만나 협력하라는 것 그러면 100이된다.
약한 연대를 만들어라.
누군가 당신을 발견할 확률을 높여라.
조직 내에서 개인브랜드를 만들어라.
수업처럼 일에도 결과(outcome)을 정의하고 생각한 다음 접근하라.
대략 계산하는 역량을 길러라. ballpark figure
쉽게 쓰고 쉽게 말한다.
결론부터 말하라.
쉬운 것부터 시작하라.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하라.
인풋과 아웃풋을 적절히 균형을 잡아라.
힘을 빼려면 힘주는 시간이 필요하다.
조금 어려운 일부터 시작하라.
시장점유율 2배의 차이는 실력의 2배 차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10%의 실력차이만으로도 시장점유율은 2배 차이난다.
'유능하면 겸손하라. 유능하지 않으면 능력 있는 척하라. 능력 있는 척하지 못하면 자신 있는 척하라.'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최대한 강렬하게 알려 이를 통해 긍정적 이미지로 떠오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불안이 성장을 가져온다.
작은 일에 성실하면 운이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
똑똑하고 잘나갈 수록 누군가가 필요하다. 나의 맹점을 보는 사람이 필요하다.
번아웃 예방법:
1. 웬만한 데에 에너지를 쓰지 않고 아낀다.
2. 에너지를 빼앗는 환경과 사람을 멀리한다.
3. 자신의 에너지 충전법을 확보한다.
단정하지 말고 확률적으로 보라: 더닝-크루거 효과
여유도 역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