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어령과의 대화 by 김종원

by 구교수 2024. 7. 25.

 

 

사색: 생각하며 사는 일상

타인에게 굳이 마음에 없는 말을 하지 않아도 괜찮은 삶

억지로 자신의 탄탄한 내면의 힘으로 끝없이 나를 나아지게 만드는 지적인 도전

언어로 빌딩을 짓는다는 것

노력은 결국 과정이 아니라 결과로 보여주는 것

오십 이후의 삶은 농밀하게

1. 나이 마흔에 바쁘게 살지 말라는 게 아니다.

2. 시간을 창조하라

3. 1년마다 자신을 비교하라.

4. 현실도 늘 뻔하기 때문이다.

5. 떠나서 쉬라는 것이 아니다. 

글을 쓰지 않으면 능력을 제대로 쓸 수 없다.

페이지를 멈추는게 진짜 독서다.

 

누구를 탓하지 말고 나 자신이 주체적으로 우뚝서야 하네. 매사에 내 생명의 주인으로서 판단해야 해. 

1초마다 다른 나를 만나라.

경제 자본이 아닌 문화 자본을 쌓아라.

사회성은 남과 잘 지내는 것만 말하지 않는다.

늘 비참하게 틀릴 각오를 해야 한다.

팔로우 수보다 생각을 깨우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인생을 사는 사람은 준비하지 않는다.

물음표와 느낌표를 오가는 삶

비난과 무례는 무시하면서 산다.

죽음 앞에서 보내는 생명력 넘치는 하루

죽음도 막을 수 없는 너의 일을 찾아라

젊은이는 늙고 늙으면 죽는다(메멘토 모리)

자기 삶의 시인으로 살라. (best one이 아닌 only one으로 살라)

나의 시선이 내가 살아갈 자본이다.

AI의 성장방향을 결정하는 주인이 되어라.

지식 습득자에서 지식 창조자로 진화하라.

 

일이 잘 풀리거나 반대로 잘 풀리지 않을 때,

요동치는 감정을 차분히 유지하라.

그리고 자신에게 질문하라.

 

나는 나만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는가?

지금 얻은 결과는 내가 원하는 결과인가?

 

차분히 자기만의 길을 선택해서 걸어가라.

자유와 희망이 가득한 온리 원의 삶을 살라.

 

말과 글을 예술처럼 대하는 삶을 살라! 

 

나쁜 걸 나쁘다고 말하기보다는,

당신의 눈에 좋은 부분만 담아라.

그러면 모든 것이 예쁘게 느껴질 것이다.

 

오래된 자신과 결별하라

1. 24시간 생각을 작동하라

2. 영감을 경영하라

3. 비판과 근거를 동시에 말할 수 준에 도달하라.

 

1. 깨닫지 못하는 건 그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해서다.

2. 깨달음은 자동차 연료처럼 억지로 주입할 수 없다.

3. 수준을 높이려면 늘 높은 수준의 작품을 봐야한다.

4. 질투심은 낮은 수준의 지성을 증명한다.

5. 늘 뭔가를 찾으려는 눈으로 강렬하게 봐야한다.

 

사색과 글쓰기로 농밀하게 보내는 하루

 

누구나 자기 삶에 집중하면 내면에 도끼날처럼 거대한 지적 도구를 갖게 된다.

 

1. 내용이 형식을 규정하게 하라(글)

2. 인식수준을 높여야 자연이 보인다.

 

당신 눈에 보이는 말이 아닌,

그의 마음에 필요한 말을 주라.

그것이 그에게는 살아갈 생명이다.

 

살면서 내가 가장 잘한 일은 내게 나만의 공간을 허락한 것이다. 그 공간 안에서 사랑하고 슬퍼하고 아파하며, 나는 매일 나라는 세계를 경험한다. 죽지 않는 한 절대로 끝나지 않는 사랑, 나와의 로맨스를 나눌 공간이 필요하다.

 

인간의 성장은 결국

내가 홀로 이루었다고 믿었던

수많은 결과가 나 자신만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시작된다.